-
23-9-28 일일 국제경제 지수 미국채 장기물 금리 상승, 금값하락, 달러 인덱스 상승, 원유가격 상승국제정치 2023. 9. 28. 08:24
어제와 다른 점은 미국채 장기물이 상승했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금값이 크게 하락했다.
온스당 1900 달러 밑으로 하락했다.
달러 인덱스도 상승했다.위와 같은 현상들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금을 팔아서 달러를 확보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달러의 가치가 떨어질 것을 우려한 조치가 아닌가 한다.
정상적이라면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금값이 떨어지면 안된다.
미국채가 떨어지면 오히려 금값이 올라가야 하고 달러 인덱스도 떨어져야 한다
그런데 이상하게 움직인다.
이런 이상한 움직임은 나중에 정상적으로 회귀될 수 밖에 없다.누가 금을 팔았을까? 이정도 가격에 영향을 미칠 힘이라면 연준 정도의 능력 아니면 어렵지 않을까 한다.
달러의 가치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금을 팔았을 수도 있다.
그래서 달러의 가치를 계속 높여야 누군가가 미국채를 사려고 할테니까 말이다
그런데 미국채를 사면 가격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선회할 가능성이 높다한국 증권분석가들은 미국채 장기금리가 4%가 넘었을때 집팔아서 미국채 사야한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렇게 했으면 상당한 손해를 보았을 것이다.미국 연준은 국채 금리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듯 하다.
원유가격이 갑자기 상승했다.
이것은 무슨 이유인지 알기 어렵다.
누군가 사재기를 하는 것 아니면 공급을 줄인다는 것이다.
경제가 침체로 흘러갈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은 상황에서
원유가 지금처럼 높은 것도 정상은 아니지 않을까 한다.
원유가격은 두고 보아야 할 것 같다.미국이 이란과 베네주엘라 원유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미국 인플레이션 해결도 어려울 것이다.
내년도 중반기 미국의 원유 채굴능력이 확대될 때까지 최소한 6개월 정도는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는 대처하기 어려울 것이다.'국제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9-30 제3차 일대일로 정상포럼 그리고 미중정상회담의 의미 (0) 2023.09.30 23-9-29 일일 국제경제지수 변화 (0) 2023.09.29 23-9-25 국제경제지수 분석, 현상황이 지속가능할까? (0) 2023.09.25 23-9-24 윤석열의 총체적 대외정책 실패, 김태효를 즉각 경질하라 ! (0) 2023.09.24 23-9-22 경제지수 관찰 미국채 장기물, s&p 500 하락, 구리가격 하락, 원화의 평가절하 (0) 2023.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