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8-8 우크라이나 전쟁 확대 가능성: 세계대전으로의 비화러시아 2023. 8. 8. 09:00
우크라이나 전쟁의 양상이 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직 분명하다고는 하기 어렵지만 전쟁 수행과 관련하여 상당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작전수행 측면에서 러시아군이 리만과 쿠피얀스크 방면에서 점진적이지만 확고한 공세작전으로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 바흐무트와 자포로지예 방면에서는 아직 우크라이나 군이 공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성과는 별로 없고 전망은 절망적인 상황이다. 공세를 유지하기 위해 너무 많은 병력을 희생시켰다. 마치 한국전쟁때 낙동강 전선의 마지막 북한군 공세를 보는 것 같다.
리만과 쿠피얀스크 방면의 공세는 매우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공격은 과감하게라는 군사격언이 무색하다. 공세를 과감하게 하면 인명피해가 커지기 때문일 것이다. 앞으로는 과감한 공세와 같은 용어는 보기 어려울지도 모르겠다.
러시아는 결정적인 공세를 위한 전투장비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차와 장갑차가 전선으로 계속 보급되고 있다. 정확한 숫자는 알 수 없지만 최근 1달동안 작년 한해동안 생산만큼 만들어 냈다고 한다. 얼마 지나지 않으면 러시아군이 병력과 장비 탄약 면에서 모두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게 될 것 같다. 전면적인 공세는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는 시기에 달려 있다 하겠다.
러시아군이 장비와 병력 면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방어에서 공격으로 이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우크라이나 군이 계속 공세를 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러시아군도 같이공격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결국 결정적인 공세이전의 계기가 필요해 보인다. 한국전쟁 당시 낙동강 전투에서 8월 중순이후에는 남한과 미군이 압도적인 우위에 있었으나 공세이전으로 전환하지 못하고 인천상륙작전까지 기다려야 했다.
우크라이나 군은 절망적인 상황에서 공세를 계속하고 있다. 이제까지 병력의 손실이 너무 심각하다. 전사자가 40만이 넘는다는 평가다. 전사자가 40만이 넘으면 부상자는 100만이 넘는다. 우크라이나는 40-50대 여성들까지도 징집하고 있다고 한다. 이미 한계상황에 직면해있다.
전장이 확대되고 있다. 우크라이나가 최근 크림반도의 교량을 파괴하고, 유조선을 수상드론으로 공격하고, 모스크바를 드론으로 타격하는 것도 현 전선에서 상황이 절망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크라이나 군의 이런 각종 드론공격을 위해 나토군이 표적을 제공했을 것이다.
나토 군과 우크라이나 군이 러시아의 후방을 타격하는 것으로 작전양상을 변화한 것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첫번째는 러시아군이 전선에서 우크라이나 군에 대한 압력을 높이는 것을 지연시키고자 하는 목적이 있을 것이다. 두번째는 이런 공격으로 러시아인들에게 염전사상을 고취시켜 가급적 빨리 휴전과 같은 방식으로 전쟁을 종결지으려 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그런 목적은 별로 성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미 러시아는 군사적인 승리로 전쟁을 종결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크림반도와 헤르손을 잇는 교량에 대한 공격과정에 폴란드에서 출격한 공군기가 이용되었다는 제보가 있었다. 러시아 군사채널에서 발표한 내용으로 6대의 Su-24가 출격하여 12발의 스톰쉐도우 미사일을 발사했고 러시아 방공군이 그중에 9발을 요격했으나 3발이 교량에 명중했다는 것이다. 러시아 군사채널이 이런 발표를 한 것은 나름대로 신빙성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했다고 할 것이다. 폴란드에서 Su-24를 출격시켰다면 이는 심각한 문제다. 폴란드가 벨라루스 지역에 경계를 강화한 것도 러시아가 보복을 위해 바그너 그룹을 폴란드로 진격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가능성도 크다.
만일 폴란드가 이번 교량 타격에 참가했다면 이는 사실상 러시아와 나토가 정면대결을 의미한다. 전쟁의 여파가 우크라이나에 머물지 않고 폴란드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러시아는 공세이전 상황이 되면 폴란드 군과의 군사적 충돌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와 같은 상황이라면 폴란드 군이 우크라이나로 진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하겠다.
현재 세계는 동시다발적인 전지구적 전쟁의 위험성에 직면해 있다. 러시아와 중국 해군이 노골적으로 알래스카까지 진출해서 미본토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유럽으로 확대된다면 중국은 즉각 대만을 침공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은 폴란드 문제로 인해 대만에 손을 쓰지 못할 것이고, 중국은 그런 기회를 놓치지 않을 것이다. 아프리카 지역은 이미 반제국주의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프랑스가 몰려나고 있는 상황이고 미군도 아프리카에서 기반을 상실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바그너 그룹이 니제르 개입을 결정했다. 니제르에 대한 군사개입은 러시아와의 전쟁을 의미한다. 자신감을 얻었는지 니제르가 공역을 차단했다.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일촉즉발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데 모두들 그 위기를 별로 느끼지 못하는것 같다.
'러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3-6-11 우크라이나군의 6월 반격작전 관전평 : 작전 전술적 관점에서 > (0) 2023.06.11 <23-5-5 우크라이나의 크레믈린 드론공격, 우크라이나 전쟁에 미치는 영향> (0) 2023.05.05 < 8-21 우크라이나 전쟁상황 평가, 왜 러시아는 장기전으로 가는 것일까? > (0) 2022.08.21 < 8-15 러시아 중앙은행의 통화정책가이드 라인을 통해 본 정세변화 > (0) 2022.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