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패권경쟁
-
< 8-13 미국의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정책을 보면서, 생각과 달리 상황이 갈 가능성이 높다. >미중패권경쟁 2022. 8. 13. 17:01
미국은 전대미문의 투쟁을 전개하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을 동시에 타격하는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를 타격하기 위한 전쟁이다. 미국은 러시아를 마지막까지 몰아갔고 결국 전쟁이 발생했다. 러시아가 침략을 먼저 침략했지만 전쟁발발의 책임을 러시아에게만 돌리기 어렵다. 비율로 따지자면 미국이 70% 정도의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전쟁 책임의 비율은 달라질 수도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전쟁에 대한 전망과 예측을 했다. 전쟁이 발발하자 마자 이번 전쟁이 미국의 패권붕괴에 직접적인 계기로 작동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쟁이 군사적인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경제적인 전쟁이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의 핵심이라고 평가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모두 점령..
-
< 8-12 사드문제와 한 미 중의 전략적 이익 추구 능력 비교 >국제정치 2022. 8. 12. 15:19
한중 외무장관회담 이후 사드 문제를 두고 한국, 미국, 중국이 설전을 벌이고 있다. 사드 문제는 미중패권 경쟁에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그리고 3국의 전략은 무엇이가 누가 이익을 보고 누가 손해를 보고 있을까 ? 정세판단은 가장 중요한 전략의 기초다. 한중외무장관 회담이후 붉어지고 있는 사드 문제에 대한 한미중 3국의 국익 대차대조표를 살펴보려고 한다. 그러고 나면 우리가 무엇을 잘못했는지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잡아 나갈 수 있을 것이다. 1 미국의 입장 사드문제에서 가장 많은 이익을 본 나라는 미국이다. 2016년 사드배치 결정이후 미국은 한국과 중국의 관계를 완전하게 이격시키는데 성공했다는 점에서 최대의 승리자라고 할 것이다. 한반도에서 사드는 사실상 군사적인 목적보다 정..
-
< 8-3 낸시 펠로시의 대만방문과 중국의 대응에 관한 평가, 중국의 전략적 실패 >국제정치 2022. 8. 3. 09:24
펠로시가 대만에 도착했고 직접적인 군사적인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중국은 대만 인근에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의 위협만 가했을 뿐이다. 미국은 펠로시가 탄 항공기를 우회시켜 중국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회피하고자 했고 중국도 예고했던 것처럼 직접적인 군사행동을 하지 않았다. 치킨게임이라는 점을 고려해 보면 이번에 승자는 미국이고 패자는 중국이다. 중국은 자신이 언급했던 직접적인 군사적 충돌을 회피한 것이다. 이것은 충돌직전에 핸들을 틀어버린 것과 마찬가지다. 중국이 직접적인 행동을 하지 않은 것은 전략적인 패배다. 직접적인 행동을 하지 못할 것같으면 그런 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패권에 도전하는 국가는 말을 조심해야 한다. 꼭 행동하지 않을 것 같으면 함부로 이야기하지 말아야 한다. 블러핑은 강대국의 특권이다..